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내일 18일은 일본 정부가 한일 경제전쟁에서 설정한 1차 시한입니다. <br> <br>내일까지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놓고 제3국의 중재를 수용할지를 밝히라고 요구했었지요. <br><br>어제는 수용할 수 없다고 한 청와대가 오늘은 중립적으로 태도를 바꿨습니다. <br> <br>복잡한 물밑 기류가 흐른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.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 대기업들도 핵심소재 재고가 서서히 줄고 있습니다. <br><br>결국 기업들 스스로 대체 소재를 찾고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급소를 찔린 삼성전자의 접히는 스마트폰, 어떻게 대비하고 있을까요? <br> <br>김기용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<br><br>[리포트]<br>삼성전자가 일본산 핵심 소재를 국산으로 바꾸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교체 대상은 갤럭시폴드의 화면을 보호하는 투명 필름 폴리이미드입니다. <br> <br>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 대상에 올린 품목입니다. <br> <br>현재 삼성전자는 국산 소재를 확보해 고강도 신뢰성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. <br><br>소재 자체만 점검하는 1단계 테스트는 이미 끝났습니다. <br> <br>폴리이미드에 손가락 지문이 덜묻게 하는 추가 공정과 내구성을 높이는 작업을 거쳐, 현재는 완성품 형태로 점검하는 최종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. <br><br>삼성은 최대한 빨리 테스트를 마무리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삼성전자 관계자는 "국산 제품 이용 등 여러 가능성을 검토 중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전문가들도 다변화 필요성을 강조합니다. <br> <br>[박재근 /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회장] <br>"국내에서도 코오롱인더스트리, SKC, SK이노베이션 쪽에서도 할 수 있다고 그러니까, 빨리 그런 업체를 키워서 다변화를 시켜야 합니다." <br> <br>[김기용 / 기자] <br>일본의 수출규제가 장기화 할 것으로 예상되는만큼 관련 기업의 국산화 전략이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에이 뉴스 김기용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재평 <br>영상편집 : 조성빈